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유방암 산정특례제도 적용받은 후기

by 글꿈1001 2025. 2. 19.
반응형

 

산정특례제도-적용-후기

 

산정특례제도는 중증 질환이나 희귀·중증난치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의료비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을 낮춰주는 제도입니다. 2022년 유방암 수술 후, 산정특례제도를 통해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산정특례제도 혜택을 받은 내용과, 산정특례제도 적용대상, 적용기간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산정특례제도 적용 후기

산정특례제도 혜택과 신청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입니다.

- CT 진단료, MRI 진단료, 초음파 진단료, 검사료, 투약 및 조제료, 산정특례제도 혜택을 통한 실제 납입 금액 

산정특례제도 혜택과 신청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입니다.

- 뼈스캔 검사료, 산정특례제도 혜택을 통한 실제 납입 금액

산정특례제도 적용 대상

산정특례 적용 대상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① 중증질환(본인부담률 5%)

  • 암(C코드), 심장·뇌혈관 질환, 중증화상 등
  •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 5% 적용

② 희귀·중증난치질환(본인부담률 10%)

  • 루게릭병, 크론병, 다발성 경화증, 혈우병 등
  •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 10% 적용

③ 중증 외상환자

  • 교통사고나 추락사고 등으로 심각한 부상을 입은 경우
  • 특정 기준을 충족하면 본인 부담률이 경감됨

④ 등록 장애인 재활치료(본인부담률 10%)

  • 등록 장애인의 재활치료 관련 의료비 감면

산정특례-적용-대상

 

 

산정특례제도 적용 기간

  • 암 환자: 최초 진단 후 5년간 적용
  • 희귀·중증난치질환: 질환 지속 시 평생 적용 가능
  • 중증질환(뇌혈관·심장 등): 최초 진단 후 5년간 적용

산정특례제도-적용-기간

 

 

산정특례제도 간단 예시

 

암 환자 치료비 예시

  • 항암치료 총비용: 1,000만 원
  • 일반 본인 부담(20%) → 200만 원
  • 산정특례 적용(5%) → 50만 원

희귀질환 치료비 예시

  • 약제비 총비용: 500만 원
  • 일반 본인 부담(20%) → 100만 원
  • 산정특례 적용(10%) → 50만 원

 

마무리

산정특례 대상자는 방문하는 병원에서 바로 확인해주고, 신청도 도와주고 있어서 어렵지 않게 파악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추가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아래 내용 확인하고, 문의해 보길 바랍니다.

  •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www.nhis.or.kr

산정특례제도-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공단

 

반응형